Opamp를 설계할 때 개고생하기.. 학교에서 교수들이 가르쳐준대로 설계를 해보시라 이렇게 3.3V로 전압 공급을 하고, 비반전 증폭이니 Vout = (1 + R3/R5)*Vin으로 계산이 될거다. 이론상 1V를 넣으면 2V로 출력이 나와야 하는데.. 빌어먹을 놈들이 말해주지 않은게 있다. Op amp의 특성상 입력공급 전압을 넘을 순 없다는 것.. 그리고, 구조적한계로 인해 출력은 공급전압보다 2V정도 이하로 밖에 나오지 않는다는 것. 결과가 보이는가? 공급전압을 3.3V로 했더니, 출력이 1.8V 밖에 안나온다. 아 빌어먹을.. 어그래.. 참고로 난 중앙에 우뚝섰다.(좆됐다.)
글
Mind Net - Frame 구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7편 ] Frame Header (Ethernet II, IEEE802.3) 구조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ffer00net&logNo=300539665 Ethernet은 "Ethernet Specification"라는 이름으로 DIX(DEC, Intel, Xerox)에서 1980년에 버전 1.0을 발표했다. 이후 1981년에 이더넷을 국제 표준으로 지정받기 위해 수정작업을 거치고 1982년에 버전 2.0을 발표하게 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Ethernet II이다.) 이후 1983년에 IEEE 802.3 워킹그룹의 표준화 작업이 마무리 되어 IEEE 표준위원회는 802.3 CSMA/CD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LAN 표준을 발표하였다. 이더넷 사양중 일부 내용이 수정된것을 제외하고는 문구가 그대로 반영될 정도로 이더넷은 802.3 표준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Ethernet II와 IEEE 802.3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Preamble Ethernet II 표준 - 송신측과 수신측의 비트 동기화를 위해 사용한다. (이 영역 다음부터 바이트 열의 유효한 프레임이 전달됨을 알린다.) - 상위 7byte : 비트 동기화를 위해서 10101010로 된 비트열을 전달한다. - 하위 1byte : 프레임 시작을 알리는 10101011을 전달한다. - Preamble크기는 Frame Header 크기를 계산할 때 제외한다 - 8Byte IEEE 802.3 CSMA/CD 표준 - 송신측과 수신측의 비트 동기화를 위해 사용한다. - 7byte모두 10101010으로된 비트열을 전달한다. - 7Byte ◈ SFD (Start Frame Delimiter) -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1byte로 이루어져 있다. - 1...
Ethernet 처리를 하는경우 - 01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메뉴 보이기 검색 Ethernet Frame, Ethernet Frame Format, Ethernet MAC Frame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 프레임 포멧, Ethernet 프레임 (2015-04-06) 이더넷 헤더, Ethernet Header Top > 통신/네트워킹 > 인터넷/데이터통신 > 데이터 링크 > LAN (유선) > 이더넷 > MAC 부계층 > MAC 구조/형태/주소 1. 이더넷 프레임 ㅇ 이더넷 이 최초로 발표된 후, - IEEE 의 표준화 움직임과 비슷하게 Novell社 등에서도 그들나름의 프레임 포멧을 발표함 ㅇ 따라서, - 이더넷 시그널링 , 엔코딩 , 프레임 의 최대 및 최소 길이에서는 똑같지만, 프레임 포멧 상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다수의 방식이 출현하게 됨 ㅇ 결국, - 동일 LAN 세그먼트 에서 다수의 서로 다른 이더넷 프레임 이 떠다닐 수 있음 2. 이더넷 프레임 의 형식 및 길이 요건 ㅇ IEEE 802.3 또는 DIX 2.0 - Preamble : (10101...) 비트 동기 를 위해 56 비트 동안 `1`,`0`을 반복함 - SFD : (10101011) 프레임 동기 를 위한 식별용 문자 (0xAB) . 마지막 두 비트 가 `11` 임 - D A : Destination Address , S A : Source Address ☞ MAC 주소 - Len/Type : 길이 또는 타입 . 0x 600 이하이면 Length ( IEE...
Converter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http://blog.naver.com/lagrange0115/220920268172에서 퍼왔습니다. Converter 풀 브리지 컨버터 (Full-bridge Converter) 2017.01.25. 20:44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http://blog.naver.com/lagrange0115/220920268172 풀 브리지 컨버터 (Full-bridge Converter)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 보다 큰 출력을 가진 시스템에 주로 사용됩니다. 하프 브릿지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가지고 스위칭하는 반면 풀 브리지는 4개의 스위칭 소자를 가지고 상보적으로 스위칭합니다. 그림. 1 풀 브리지 컨버터의 토폴로지 하프 브리지가 입력 전압의 절반을 변압기를 통해 전달했다면 풀 브리지는 입력 전압의 크기 그대로를 변압기를 통해 전달합니다. 같은 power라면 풀 브리지가 하프 브리지에 비해 입력 전류가 절반입니다. 스위칭 소자는 고전압으로 가는 것이 고전류로 가는 것보다는 수월하기 때문에 풀 브리지 타입이 더 큰 용량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림. 2 S1 ON, S4 ON 그림. 3 S1 ON, S3 ON 그림. 4 S2 ON, S3 ON 그림. 5 S2 ON, S4 ON 그림 2는 스위칭 소자 S1, S4가 ON 인 상태로 입력전압을 변압기를 통해 2차 측에 전달합니다. 이때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식 1과 같습니다. 식. 1 그림 3은 스위칭 소자 S1, S3가 ON 상태로 변압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0이므로 2차 측에 전달되는 전압 역시 0입니다.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이 0이므로 변...
BJT와 FET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BJT와 FET.. 기억나지 않는.. 언제나 헷갈리는.. 젠장.. Wikipedia에서 얘기한다. BJT : 베이스 전류 입력 - 콜렉터/에미터 전류 출력 {\displaystyle {i_{\text{c}}}=\beta {i_{\text{b}}}} - CCCV(Current control, current source)라고.. - Switch역할로 쓴다면 증폭의 개념은 잊어도 좋다. FET : 게이트 전압 입력 - 드레인/소스 전류 출력 {\displaystyle {i_{\text{d}}}=g_{m}{v_{\text{g}}}} - VCCV(Voltage control Current source.. ) 연산 증폭기(op-amp) : 차등전압 입력 - 전압 출력 {\displaystyle {v_{\text{o}}}=-G(v_{{\text{b}}-}-v_{{\text{b}}+})} (Voltage control Voltage source) Transistor에서 화살표는 N을 지칭한다. 그러므로 왼쪽은 NPN, 오른쪽은 PNP Mosfet도 화살표는 N을 지칭한다. 주의할 사항은 N-type은 D -> Source P-type은 S ->D로 전류가 흐른다.. 아 헷갈린다.. BJT - P - E(BJT는 P-type일때 E에서 시작) FET - N - D(FET는 N-type일때 D에서 시작)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http://www.maglab.pe.kr/analog.htm에서 퍼왔습니다. Input bias, 입력 Offset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아날로그 계측 에 관한 회로 설계 및 측정 방법을 을 기초부터 상세하게 소개합니다. OP amp.의 data sheet에 나오는 용어해설 OP amp. 를 이용한 적분기의 구성 각종 계측기등의 사양서(Specifcation)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정리 아날로그 회로설계와 PCB Instrumentation amp. 를 이용한 ECG 측정 OP amp.의 data sheet에 나오는 용어해설 최대 정격 : OP amp.가 손상될 염려없이 안전하게 동작 할 수 있는 최대치. 1. 공급전압 (Supply Voltage : ± Vs) OP amp.에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최대의 전압. 2. 내부 소비전력 (Internal Power Dissipation : PD) OP amp.의 주어진 규정된 주위온도에서 소비할 수 있는 최대 전력. (ex. 600 mW ≤ 75 ℃) 3. 차동 입력 전압(Differential Input Voltage : Vid) OP amp.의 입력 단자인 inverting(-), non-inver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