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rter

이미지
http://blog.naver.com/lagrange0115/220920268172에서 퍼왔습니다. Converter 풀 브리지 컨버터 (Full-bridge Converter) 2017.01.25. 20:44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http://blog.naver.com/lagrange0115/220920268172   풀 브리지 컨버터 (Full-bridge Converter)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 보다 큰 출력을 가진 시스템에 주로 사용됩니다. 하프 브릿지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가지고 스위칭하는 반면 풀 브리지는 4개의 스위칭 소자를 가지고 상보적으로 스위칭합니다. 그림. 1 풀 브리지 컨버터의 토폴로지 하프 브리지가  입력 전압의 절반을 변압기를 통해 전달했다면 풀 브리지는  입력 전압의 크기 그대로를  변압기를 통해 전달합니다. 같은 power라면 풀 브리지가 하프 브리지에 비해 입력 전류가 절반입니다. 스위칭 소자는 고전압으로 가는 것이 고전류로 가는 것보다는 수월하기 때문에 풀 브리지 타입이 더 큰 용량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림. 2 S1 ON, S4 ON 그림. 3 S1 ON, S3 ON 그림. 4 S2 ON, S3 ON 그림. 5 S2 ON, S4 ON 그림 2는 스위칭 소자 S1, S4가 ON 인 상태로 입력전압을 변압기를 통해 2차 측에 전달합니다. 이때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식 1과 같습니다. 식. 1 그림 3은  스위칭 소자 S1, S3가 ON 상태로 변압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0이므로 2차 측에 전달되는 전압 역시 0입니다.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이 0이므로 변...

BJT와 FET

이미지
BJT와 FET.. 기억나지 않는.. 언제나 헷갈리는.. 젠장.. Wikipedia에서 얘기한다. BJT  : 베이스 전류 입력 - 콜렉터/에미터 전류 출력  {\displaystyle {i_{\text{c}}}=\beta {i_{\text{b}}}}  - CCCV(Current control, current source)라고..  - Switch역할로 쓴다면 증폭의 개념은 잊어도 좋다. FET  : 게이트 전압 입력 - 드레인/소스 전류 출력  {\displaystyle {i_{\text{d}}}=g_{m}{v_{\text{g}}}} - VCCV(Voltage control Current source.. ) 연산 증폭기(op-amp)  : 차등전압 입력 - 전압 출력  {\displaystyle {v_{\text{o}}}=-G(v_{{\text{b}}-}-v_{{\text{b}}+})} (Voltage control Voltage source) Transistor에서 화살표는 N을 지칭한다. 그러므로 왼쪽은 NPN, 오른쪽은 PNP Mosfet도 화살표는 N을 지칭한다.  주의할 사항은 N-type은 D -> Source                    P-type은 S ->D로 전류가 흐른다..  아 헷갈린다..  BJT - P - E(BJT는 P-type일때 E에서 시작) FET - N - D(FET는 N-type일때 D에서 시작)
이미지
                            http://www.maglab.pe.kr/analog.htm에서 퍼왔습니다. Input bias, 입력 Offset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아날로그 계측 에 관한  회로 설계 및 측정  방법을 을 기초부터   상세하게 소개합니다.          OP amp.의 data sheet에 나오는 용어해설     OP amp. 를 이용한 적분기의 구성      각종 계측기등의  사양서(Specifcation)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정리     아날로그 회로설계와 PCB     Instrumentation amp. 를 이용한 ECG 측정       OP amp.의 data sheet에 나오는 용어해설 최대 정격 : OP amp.가 손상될 염려없이 안전하게 동작 할 수 있는 최대치. 1. 공급전압 (Supply Voltage : ± Vs)    OP amp.에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최대의 전압. 2. 내부 소비전력 (Internal Power Dissipation : PD)    OP amp.의 주어진 규정된 주위온도에서 소비할 수 있는 최대 전력.    (ex. 600 mW ≤ 75 ℃) 3. 차동 입력 전압(Differential Input Voltage : Vid)    OP amp.의 입력 단자인 inverting(-), non-inverting(+) ...

차량용 점프..

이미지
1. 날이 추워진다.. 자동차 배터리의 성능이 약해진다.. 왜 추우면 배터리 성능이 약해질까??..  추우니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못해서 그렇다고 생각된다. 2. "AGM battery".. 저건뭐지?? " Absorbent Glass Mat "유리막이 있어 더 좋다는데.. 그냥 있다고만 알고있자. 3. 배터리가 방전되면 점프(JUMP)를 하는데.. 일반적으로 차에서 차로 점프하는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그런데 서비스 하시는 분들도 휴대용 점프 배터리를 갖고 다니면서 하시는데.. 4. 휴대용 점프 배터리는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문제들이 종종 보인다. 뭐.. 소모품이니 그럴 수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 Zener Diode를 단 이유는 자동차가 시동이 걸리고 난 후 Generator에서 14V이상의 전압이 배터리 쪽으로 유입이 되기 때문이다. 어쨌든 막아 보려고 달았는데.. 단점은.. 유입이 되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 전력을 소모한다.. TooT 아 이런 젠장.. 그래서 아래 그림처럼 바꿔봤다. Jump+에는 Relay(Switch)가 달려 있어서 가동중일 때는 Jump+에 12V가 들어간다. 그러면 FET가 동작을 하고, 동작을 하게 되면 12V이상되는 전압이 걸리게 되면 Zener diode가 동작을 한다. Zener diode가 동작을 하게되면.. 아마도.. Jump+에 12V 이상이 걸리면 Zener Diode 쪽으로 빼주리라 생각한다.. * 중요한점: Zener를 배터리에 연결하면 전력을 소모한다....

CE인증을 받았는데 왜 CB를 걸까?

CE인증을 받았습니다. LVD/EMC Test reports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Buyer한테 자신있게 말합니다. 우리 CE 인증 받았다.. 라고.. 그랬더니 Buyer가 CB를 달라고 합니다. 왠 CB? 일단 용어부터.. NCB: : National Certification Body, 국가인증기관 CB: Certification Bod, 제조자가 한 국가의 시험기관으로부터 규격에 적합하다는 CE인증서 및 시험성적서를 발급 받은 경우, 제품을 다른 나라로 판매하고자 할 때에는 시험성적서를 첨부하여 CB인증서를 해당국가 의 CB시험소에 제출하면, 최소한의 절차를 거쳐 그 나라의 국가 인증마크의 사용을 허가 받을 수 있는 제도 CE-Mark에서는 인증주체에 따라 크게 두 가지의 종류로 나눠집니다. a)    CoC(Certificate of Conformity : 적합성 인증) : - 제 3자 승인기관 (Notified Body : NB)에서 발행 승인기관 (Notified Body : NB) 이 제조자 또는 제조자의 대리인이 적합성을 스스로 확인하고 적합성을 스스로 선언한 DOC와 기술구조문서(TCF)를  검토하고 관련 법규 및 규격에 대한 적합성이 확인될 때 발급되는 승인기관 (Notified Body : NB) (Notified Body : NB)의 증명서입니다. 승인기관이 발행한 인증서에는  인증기관의 번호가 기입된 CE-Mark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DoC(Declaration of Conformity : 적합성 선언) :  - 제조자 대표 스스로가 선언서를 작성, 발행 제조자 또 제조자의 대리인이 자신의 책임하에 제품시험 등을 통하여 대상제품이 지침 및 규격에 적합함이 확인될 때 기술구조문서(TCF)에 기초하여 DOC를 작성,  서...

의료기기 인증 시험비용

의료기기 인증을 진행하려면, 시험소에서 Test Reports를 받아야 하는데.. 이 Test Reports를 발행받을 때 여러가지 시험을 하게 된다. 크게 보면 1. 전자파(60601-1-2): 약 4,000,000원 2. Safety(60601-1): 13,000,000원 이 외 세부 규격으로 Wireless(R&TTE) 무선시험이나 - Wifi, 2G~4G에 따라 다름 Surgical Unit 60601-2-2: 이것도 고주파, 저주파 등에 따라 다른데.. 오늘 하고 픈 이야기는 만약 SMPS가 개발품이라면?? SMPS가 상용품(60601-1 3rd 인증을 받은제품)이라면 어떻게 달라질까? 대략 SMPS 시험이 면제 되기 때문에 3~400만원의 인증비용 차이가 나게 된다. .. 인증품 쓰는게 여러모로 좋다..

의료기기 제품의 신뢰성 시험

신뢰성이 중요한데.. 도대체 뭘 시험해야 하지? 개발 및 설계 변경품 신뢰성 검증 항목 1. 완제품 신뢰성 (ISO-15004-1)              시료접수일로부터 52 일간 ( 필수항목 기준 )              외관 및 성능검사 , 전기안정성 시험시작시 1 일 , 시험완료후 1 일              환경시험 20 일 , EMC 2 일 , 전원 On/Off  6 일 , 발열 평가 1 일 ,Simulation 21 일               시료 수 : 최소수량 2ea  (1) 외관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방법 시료 일정 결과 예산 외관 제품을 구성하는 외장이나 부품등에 사용상 유해한 상처나 오염 또는 변형이 없을 것 육안 2ea 1h - (2) 기능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방법 시료 일정 결과 예산 최종검사 성적서 최종검사 성적서 최종검사 성적서 2ea 2h ...